
여행주간은 국민의 시간적·경제적 제약 완화를 통한 국내여행 수요 증가를 목표로 2014년에 시작됐다.
그동안 여행주간은 대개 5월과 10월에 추진되어 여름철에 집중된 여행 수요를 봄과 가을로 분산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왔다.
2020년부터는 비수기 국내여행 활성화를 새로운 목표로 삼고 6월과 11월로 그 시기를 변경해 추진한다.
시간적 제약을 완화하기 위해서 연가를 사용해 여행을 갈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휴가문화 개선 캠페인 ‘유휴’를 계속 진행하고 경제적 제약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여행주간 특별패스’를 마련한다.
한국철도공사,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공유차량 등 교통기관별로 발매할 ‘여행주간 특별패스’를 이용하면 평소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우리나라 구석구석을 여행할 수 있다.
‘여행주간 특별패스’에 대한 더 상세한 내용은 추후 배포될 여행주간별 보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역별로 특화된 관광 콘텐츠를 발굴·소개하는 지역 대표프로그램도 계속된다.
각 지역에서는 여행주간에 맞추어 젊은 청년층, 가족 여행객 등 주요 관광객 유형에 맞추어 특화 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한 여행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2020년에는 국민들과 함께 여행주간 광고를 만든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내가 여행을 하는 이유’를 풀어내는 스토리보드를 공모하고 우수작을 여행주간 광고영상 제작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공모전은 2월~3월에 진행되며 공모전에 대한 더 상세한 내용은 2월 14일 여행주간 누리집에서 안내한다.
전국적인 국내여행 분위기 조성을 위해 민간기업 등 다수 기관의 참여를 독려하는 ‘여행주간 참여기관’ 모집도 계속된다.
참여기관은 여행주간을 계기로 할인, 판촉 등, 차별화된 혜택을 마련해야 하며 참여기관에는 여행주간과의 공동 홍보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문체부는 여행주간이 시작되기 한 달 전에 여행주간에 대한 더욱 상세한 내용을 담은 보도자료를 배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