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민형배 의원, ‘K-Culture 시대, 다시 기본부터 생각하자’ 포럼 성황리 개최

- 민형배, “문화는 삶의 기본권, 모두가 혜택을 누리도록 국회차원에서 적극 지원”

 

미디어라이프 중부신문 이도경 기자 | 민형배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광주 광산을)이 마련한'K-Culture 시대, 다시 기본부터 생각하자' 포럼이 10월 16일(목) 오후 2시부터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민형배·임오경·김용민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더불어민주당 서초갑 지역위원회, 한국광역문화재단연합회 지역문화정책연구소, 한국민예총이 공동 주관했다. 홍창민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운영자문위원이 사회를 맡고, 광역문화재단 관계자, 예술인, 문화정책 전문가, 법조계 인사 등이 참석했다. 포럼에서는 문화재정의 합리적 운용과 지역문화 중심 정책 전환, 문화분권 실현의 필요성을 주제로 활발한 논의가 진행됐다.

 

김한나 더불어민주당 서초갑 위원장은 환영사에서 “K-Culture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지금, 지역문화가 함께 성장하지 않으면 지속가능한 발전은 어렵다”며, “광역문화재단의 기본재산은 예술인의 창작 기반이자 공공성을 지탱하는 핵심 자산”이라고 말했다. 이어 “재정이 어렵다는 이유로 문화재정의 기준과 근본 원칙이 훼손되어서는 안 되며, 합리적이고 투명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제1세션에서 김종길 경기문화재단 정책실장이 기조연설을 맡아 “자율계정의 문화예산 확보를 위한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며, “문화예술계의 긴급한 위기상황에 한하여 대응하는 명확한 기준을 가진 재단 문화재정 운용 조례 제정 또한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후 토론에서 강욱천 한국민예총 사무총장은 “문화예술의 재정은 지원이 아니라 투자이며, 예술인은 공공가치를 창출하는 주체다”라며 “예산의 중심은 효율이 아니라 공공성과 지속가능성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영석 변호사는 “문화재단의 기본재산은 재단법인의 실체로서, 지방정부가 예산 부족을 이유로 이를 처분하는 것은 재단설립 취지를 훼손하는 행위”라며 “기본재산 처분을 제한하는 조례와 같은 제도적 장치 마련이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제2세션에서 박소윤 부산문화재단 정책기획센터장이 기조연설을 통해 “5극3특과 같은 지역 재구조화에 있어 각 지역이 가진 정체성과 고유성들이 잘 지켜질 수 있도록 문화다양성 영향평가 조치들이 이루어져야 한다”라며, “진정한 지역 문화분권과 자치를 위해서는 재정분권과 함께 수직적 전달 방식 구조를 중앙·광역·기초 간 수평적인 협의 구조로 변화시켜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허난영 한국광역문화재단연합회 사무처장은 “실질적 문화분권과 문화자치 실현을 위한 광역문화재단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다”라며, ’5극 3특 국가균형성장 추진전략’ 지역정책이 설계되고 있는 현재, 지역문화의 주체로서 광역문화재단의 문화예술 분야 현안에 대한 적극적 대응과 결합체계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현장 예술인 패널로 참석한 이슬기 작곡가는 “현장 예술인을 위해 서류 중심이 아닌 창작 중심의 행정지원이 절실하다”라고 말하며 “예술인 안정적 지원을 위해 문화재단의 재정과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대부분의 재단이 무상 위탁사업을 수행하고 있는데, 위탁사업은 시·도 출연금으로 추진되는 것이 문화재단 역할에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포럼의 마지막에 패널들은 “문화예술은 단순한 산업이 아니라 국민 삶의 질과 직결된 공공재”라며, 향후 문화재단 정책 설계와 예산 편성 과정에서 문화의 자율성과 공공성을 보장하는 제도적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 문화예술계는 이번 포럼이 전국 광역문화재단이 한목소리로 문화재정, 문화자치, 문화분권 제도 개선을 논의한 뜻깊은 자리였다고 평가했다.

 

토론회를 개최한 민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문화는 선택이 아닌 인간다운 삶을 위한 기본권”이라며, “모든 시민이 어디서나 공평하게 문화권을 누릴 수 있도록 국회차원에서 지역간 균형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