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라이프 중부신문 이도경 기자 | 국민의힘 진종오 의원이 국립국어원으로부터 받은 ' 제도 시행이후 우리말샘 운영현황 ' 에 따르면 지난 2016 년 10 월부터 2025 년 9 월까지 약 10 년간 국민이 제안한 신규어휘 438,932 건 중 최종 반영된 신규어휘는 98,062 건으로 반영률이 22.4% 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16 년 10 월부터 국립국어원이 시행 중인 우리말샘 제도는 국민 누구나 새로운 단어를 제안 하면 전문 가와 기관이 함께 고민하고 검증을 거쳐 공식 표준국어대사전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국민참 여형 제도이다 .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 우리말샘은 ① 국민이 신규 어휘를 제안하면 ② 사전 담당자가 등록 가부를 판정하여 ③ 등록 가능 어휘는 우리말샘 참여자 제안 정보로 공개하고 , ④ 우리말샘 참여자 제안 정보를 다시 국어 전문가가 감수하여 우리말샘 전문가 감수 정보로 공개하는 제도라고 설명하고 있다 .
다만 , 국민참여라는 제도의 취지와 다르게 온라인 사이트 ‘ 우리말샘 ’ 을 통해 국민이 단어를 제안하더라도 , 신청 접수 이후 검토 시작이나 반려 , 보류 , 최종 반영 등 단계별 안내상황 등을 공지해주지 않아 , 국민은 제안 이후 진행과정을 알 수 없는 깜깜이 참여형 제도라는 비판이 계속해서 있어 왔다 .
예를 들어 , 최종반영되지 않고 있는 대패삼겹 , 독서율 , 혈압반지 등의 주요 단어들이 제안된 이후 진행상황이나 반영되지 않은 사유 등이 제안자에게 설명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
또한 ,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국민이 첫 제안한 이후 최종 반영되기까지 평균 1 년 반에서 2 년이 소요된다고 밝혀 , 제도의 취지하고 다르게 국민참여가 점차 줄어들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밝혀졌다 .
실제로 제도 시행 이후 2016 년 3 천건에서 2022 년 85,705 건 (2,757% 증가 ) 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나 , 2023 년을 기점으로 감소해 2025 년 9 월 기준 다시 8 천여건으로 줄어들었다 .
국립국어원은 이에 대해 각 단계별 전문가 1 명씩 총 3 명이 업무를 담당하다보니 제도 시행에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고 , 최근 5 년간 예산집행내역을 보더라도 연간 3 억여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대해 진종오 의원은 , “ 최근 외래어를 비롯하여 신조어 , 줄임말 등이 급격히 확산되는 상황에서 , 국민이 일상에서 쓰는 언어를 국민이 직접 제안하고 국어사전에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은 한글의 지속적 발전에 있어 의미가 매우 크다 ” 고 강조하며 , “ 다만 , 국민참여형 제도임에 반해 국민과의 소통과정이 부족해 국민참여가 줄어들고 있는 점 등을 해결할 필요가 있으며 , ‘ 우리말 제안 주간 ’ 운영 , 우수 제안자 시상 , 교육부와 협력한 학교 교육과정 반영 등을 통해 국민과 학생 모두가 우리말 변화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의 실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 고 지적했다 .